본문 바로가기

국내10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 사고 원인과 교훈, 안전 강화 대책 2014년 2월 17일,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부실한 시공과 관리 소홀, 그리고 안전 불감증이 빚어낸 인재였습니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마우나오션리조트의 강당 건물이 붕괴하면서 10명이 목숨을 잃고 204명이 부상을 입는 대참사가 벌어졌습니다.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14년 2월 17일 오후 9시 11분장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마우나오션리조트피해 규모: 사망 10명, 부상 204명사고 원인: 폭설, 부실 시공, 관리 소홀당시 부산외국어대학교 신입생 환영회가 진행 중이었고, 체육관 지붕에 약 120톤의 눈이 쌓이면서 건물이 무너졌습니다.사고 원인 분석1. 폭설과 과도한 적설 하중사고 당일 강한 폭설이 .. 2025. 4. 28.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대한민국 최악의 도시가스 참사 1995년 4월 28일 오전 7시 52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상인네거리(현재 롯데백화점 상인점 인근)에서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도시가스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초래했습니다.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개요사고는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 공사장에서 지반 공사 도중 발생했습니다. 공사 관계자들이 사전 허가 없이 굴착 작업을 하던 중 도시가스관을 파손했고, 이로 인해 누출된 가스가 인근 하수관을 따라 대구 지하철 1호선 상인역 공사장으로 퍼졌습니다. 그곳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가 발생하면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난 것입니다. 폭발 직후, 50m에 달하는 거대한 불기둥이 하늘을 뒤덮었고, 400.. 2025. 4. 28.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 원인과 그 이후 변화 총정리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는 대한민국 교통사고 역사상 최악의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목포 기점 279.8km 지점)에서 발생한 이 사고는 총 29대의 차량이 연쇄 추돌하여 12명이 사망하고, 46~57명이 부상하는 대형 참사를 불러왔습니다.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 개요발생 일시: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사고 지점: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만호리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서해대교 북단 1km 지점, 3차로피해 규모: 사망 12명, 부상 46~57명, 재산 피해 약 40억 원이 사고는 특히 대한민국 자동차보험 역사상 최악의 사고로 기록되며, 사회적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서해대교 대형 추돌 사고 원인 분석주요 원인은 다.. 2025. 4. 27.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비정규직 안전 문제의 경고 2016년 5월 28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는 누구도 쉽게 잊지 못할 가슴 아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스크린도어를 수리하던 19세 비정규직 노동자 김모 씨가 열차에 치여 세상을 떠난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사회적 인재(人災)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의역 사고의 전말, 사고 원인, 그리고 그 이후 변화와 여전히 남은 과제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구의역 사고'를 다시 돌아보며,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구의역 사고 개요발생 일시: 2016년 5월 28일 오후 5시 52분발생 장소: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 내선순환 승강장피해자: 은성PSD 소속 김모 씨 (당시 19세, 비정규직)당시 김 씨는 스크린도어 뒤편에서 혼자 수리 작업을 진행하던 중, 진입하.. 2025. 4. 27.
이천 냉동창고 화재 참사: 반복된 비극, 무엇을 배워야 하나 2008년 1월 7일 오전 10시 49분,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에 위치한 ㈜코리아2000 냉동 물류창고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무려 4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을 입는 대참사가 벌어졌습니다. 당시의 끔찍했던 상황과 함께, 이 사고가 왜 그렇게 큰 피해로 이어졌는지,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어야 할지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화재 발생 경과: 지하 기계실 인근에서 시작된 비극화재는 지하 1층 작업장 제일 안쪽에 위치한 기계실 인근에서 최초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작업장 내부는 10cm 두께의 우레탄폼으로 벽면과 천장이 덮여 있어 불길이 순식간에 번졌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유독 가스가 많은 인명 피해를 불렀습니다. 당시 소방당국은 소방차 42대, 소방관 200여 명, 경찰 2.. 2025. 4. 27.
태안 기름 유출 사고 총정리|사고 원인부터 복구 과정, 그리고 남은 과제까지 태안 기름 유출 사고는 대한민국 해양 환경에 엄청난 충격을 안긴 사건입니다.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6분,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해수욕장 앞바다에서 대형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삼성중공업 소속 해상 크레인과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가 충돌하면서, 무려 12,547㎘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나와 서해안 전역을 오염시켰습니다.사고 원인과 경위이 사고는 인천대교 공사를 마친 삼성중공업의 해상 크레인 부선 ‘삼성 1호’를 예인선이 경남 거제로 옮기던 중 발생했습니다.풍랑주의보가 발효된 악천후 속에서도 무리하게 출항한 예인선단은 균형을 잃고 와이어가 끊어졌습니다. 통제력을 잃은 부선은 정박 중이던 허베이 스피리트호와 충돌했고, 이 사고로 대량의 원유가 바다에 유출되었습니다. 특히 허베이.. 2025.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