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비정규직 안전 문제의 경고 2016년 5월 28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는 누구도 쉽게 잊지 못할 가슴 아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스크린도어를 수리하던 19세 비정규직 노동자 김모 씨가 열차에 치여 세상을 떠난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사회적 인재(人災)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의역 사고의 전말, 사고 원인, 그리고 그 이후 변화와 여전히 남은 과제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구의역 사고'를 다시 돌아보며,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구의역 사고 개요발생 일시: 2016년 5월 28일 오후 5시 52분발생 장소: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 내선순환 승강장피해자: 은성PSD 소속 김모 씨 (당시 19세, 비정규직)당시 김 씨는 스크린도어 뒤편에서 혼자 수리 작업을 진행하던 중, 진입하.. 2025. 4. 27. 이천 냉동창고 화재 참사: 반복된 비극, 무엇을 배워야 하나 2008년 1월 7일 오전 10시 49분,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에 위치한 ㈜코리아2000 냉동 물류창고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무려 4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을 입는 대참사가 벌어졌습니다. 당시의 끔찍했던 상황과 함께, 이 사고가 왜 그렇게 큰 피해로 이어졌는지, 우리는 어떤 교훈을 얻어야 할지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화재 발생 경과: 지하 기계실 인근에서 시작된 비극화재는 지하 1층 작업장 제일 안쪽에 위치한 기계실 인근에서 최초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작업장 내부는 10cm 두께의 우레탄폼으로 벽면과 천장이 덮여 있어 불길이 순식간에 번졌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유독 가스가 많은 인명 피해를 불렀습니다. 당시 소방당국은 소방차 42대, 소방관 200여 명, 경찰 2.. 2025. 4. 27. 태안 기름 유출 사고 총정리|사고 원인부터 복구 과정, 그리고 남은 과제까지 태안 기름 유출 사고는 대한민국 해양 환경에 엄청난 충격을 안긴 사건입니다.2007년 12월 7일 오전 7시 6분,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해수욕장 앞바다에서 대형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삼성중공업 소속 해상 크레인과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가 충돌하면서, 무려 12,547㎘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나와 서해안 전역을 오염시켰습니다.사고 원인과 경위이 사고는 인천대교 공사를 마친 삼성중공업의 해상 크레인 부선 ‘삼성 1호’를 예인선이 경남 거제로 옮기던 중 발생했습니다.풍랑주의보가 발효된 악천후 속에서도 무리하게 출항한 예인선단은 균형을 잃고 와이어가 끊어졌습니다. 통제력을 잃은 부선은 정박 중이던 허베이 스피리트호와 충돌했고, 이 사고로 대량의 원유가 바다에 유출되었습니다. 특히 허베이.. 2025. 4. 26. 세월호 침몰 사고: 원인, 구조 과정, 그리고 남겨진 과제 세월호 침몰 사고는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 중 하나입니다.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이 사고는 299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고, 여전히 5명이 실종 상태로 남아있습니다.세월호 침몰 사고 개요발생 일시: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50분경위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상선박: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 (인천-제주 항로)탑승 인원: 476명 (단원고 학생 다수 포함)피해 규모: 사망 299명, 실종 5명, 생존 172명세월호 침몰 원인세월호 침몰 원인은 여전히 명확하게 결론나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무리한 변침: 급격한 우회전으로 화물이 쏠림과적 및 부실 고박: 고정되지 .. 2025. 4. 26.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 대한민국 철도 사고 최악의 비극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는 2003년 2월 18일 오전 9시 53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입니다. 이 사고로 무려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벌어졌으며, 약 615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철도 사고 역사상 최악의 인명 피해를 낳은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 개요발생 일시: 2003년 2월 18일 오전 9시 53분발생 장소: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사망자 수: 192명부상자 수: 151명주요 원인: 방화, 초기 대응 실패, 안전 불감증대구 지하철 참사는 단순한 화재 사고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깔려 있던 안전 불감증과 부실한 재난 대응 체계가 만들어낸 참사였습니다.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의 원인1. 방화당시.. 2025. 4. 26. 성수대교 붕괴 사고, 왜 일어났나? 원인과 교훈 총정리 1994년 10월 21일 오전, 서울 시민들에게 충격을 안긴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지금도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생생합니다. 32명의 사망자와 17명의 부상자를 낳은 이 참사는 단순한 교량 붕괴가 아닌, 대한민국 건설 시스템의 민낯을 드러낸 대형 참사였습니다.성수대교 붕괴 사고 개요사고 일시: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40분사고 위치: 서울 성동구 성수동 ↔ 강남구 압구정동 사이피해 규모: 사망 32명, 부상 17명사고 원인: 상부 트러스 48m 붕괴, 차량 6대 추락이 사고는 출근·등교 시간에 발생해 그 충격과 파장이 매우 컸습니다.붕괴 원인은 무엇이었나?1. 부실 시공용접 불량: X자형이 아닌 I자형 용접 시공핀 플레이트 제작오차 및 검사 미흡 2. 유지관리 소홀정밀 안전진단 미실시 (15.. 2025. 4. 25. 이전 1 2 3 4 다음